신생아의 배꼽과 탯줄 간호, Cares for umbilicus and umbilical cord of newborn infants

posted in: Uncategorized | 0

신생아의 배꼽과 탯줄 간호, Cares for umbilicus and umbilical cord of newborn infants

  • 탯줄은 태아의 배꼽에서 태반까지 연결되어 있는 육관의 일종이다.
  • 탯줄의 주성분은 젤리 같은 교질이다.
  • 그 탯줄 속에 두 개의 동맥과 한 개의 정맥이 들어있다.
  • 만삭으로 출생한 아기의 탯줄의 직경은 1cm 정도이고 길이는 1m 정도이다.
  • 태아에게 필요한 산소 및 영양분 등이 탯줄 정맥을 통해서 모체로부터 공급되고, 태아의 핏속에 있는 노폐물이 탯줄 동맥을 통해서 태반과 엄마에게로 배설된다(p.00 탯줄은 언제쯤 떨어지나요? 참조).
  • 신생아의 탯줄과 배꼽 등에 황색 포도상구균, B군 연구균, 또는 대장균 등 세균 감염이 생기지 않게 예방해야한다.
  • 출생 후 바로 아기 배꼽에서 2.5~3㎝ 정도 떨어진 탯줄 부위를 베타다인 살균 소독 액(Providone-iodine)을 바르고 그 부분을 멸균 소독된 실로 동여매든지 탯줄 클램프로 조인다.
  • 그 다음, 실로 동여맨 탯줄 부위, 또는 클램프한 탯줄 부위에서 약 0.5cm 떨어진 태반 있는 쪽의 탯줄 부분을 소독된 가위로 잘라 아기를 태반으로부터 분리한다.
  • 신생아들의 배꼽에 붙어 있는 탯줄 부분을 베타다인 살균 소독 액 등으로 탯줄이 말라 떨어질 때까지 매일 살균 처리한다.
  • 탯줄을 베타다인 살균 액제로 살균 처리 하는 대신 트리플 다이((Triple dye/3중 색소액제) 등으로 살균 처치하기도 한다.
  • 더러는 아무런 살균제로도 탯줄을 살균 처치를 하지 않고 자연적으로 건사시킨다.
  • 배꼽에 붙어 있는 탯줄 부분은 1~2주 후면 배꼽에서 완전히 말라 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 탯줄을 자연적으로 건사되면 생후 1 주일에 탯줄이 말라 배꼽에서 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 트리플 다이로 살균처치하면 생후 15일~21일에 건사된 탯줄이 배꼽에서 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 배꼽에 붙어 있는 탯줄 부분이 생후 3주 이후에도 떨어지지 않으면 배꼽이나 탯줄에 세균 감염이 생기기 쉽고, 또 그 세균 감염이 점점 더 퍼져 제염, 세균성 뇌막염, 중이염, 항문 주위염 등이 생길 수도 있다.
  • 때로는 요막관 낭종이나 면역 결핍증 등이 있을 때 탯줄이 더 늦게 떨어질 수 있다.
  • 탯줄이 말라 떨어질 때까지 탯줄과 탯줄이 붙어 있는 배꼽을 베타다인 살균액제 등으로 살균 처치시킬 수도 있다.
  • 소독용 알코올로 매일 살균처치해도 아무 효과가 없다고 한다. 그래서 탯줄 건사에 소독용 알코올을 권장하지 않는다.
  • 탯줄을 탯줄 클램프로 조인 후 1∼3일에 그 탯줄 클램프를 뗀다.
  • 배꼽에 붙어 있는 탯줄을 거즈로 덮어 치료할 필요가 없다.
  • 탯줄이 떨어지기 전까지 배꼽에 붙어 있는 탯줄이나 배꼽에서 피가 나는지, 배꼽에 세균감염이 생겨 제염이나 근육막염 등이 생기는지 자주 살펴봐야 한다.
  • 탯줄이 완전히 말라 떨어지기 전에 가능하면 탯줄을 물에 적시지 말고 거즈나 약솜구로 목욕시켜야 한다.
  • 탯줄이 배꼽에서 떨어진 후 탯줄이 붙어 있던 배꼽의 중앙 부분에 고름과 비슷한 누런 진물이 조금 묻어 있을 수 있다.
  • 베타다인 살균액제를  묻힌 약솜이나 거즈로 그 배꼽을 닦는다.
  • 탯줄이 붙어 있는 배꼽이나 탯줄이 떨어진 배꼽에서 진물이나 피가 나면 의사의 진단 치료를 받는다.
  • 탯줄이 배꼽에서 떨어진 후 생살이 배꼽에서 자랄 수 있고, 그 생살에서 맑은 진물이 날 수 있다.
  • 이 생살을 제육아종이라 한다.
  • 생살은 질산은 봉으로 지져 주면 쉽게 낫는다(제육아종 참조).
  • 배꼽에 포도상 구균, B군 용혈성 연구균, 또는 대장균 등 박테리아 감염이 생기면 배꼽이 곪을 수 있다. 이것을 제염이라 한다. 제염이 생기면 의사의 진단 치료를 곧 받아야 한다. 배꼽 염증(제염) 참조.

제3권 7장 12-1.jpg

사진 2-295. 갓 태어난 신생아의 탯줄이 길게 잘려 있다.

머리통이 몰딩으로 이상하고 길다이것도 정상이다.

Copyright ⓒ 2012 John Sangwon Lee, MD., FAAP

제3권 7장 12-2.jpg

사진2-296.탯줄 클램프.

Copyright ⓒ 2012 John Sangwon Lee, MD., FAAP

제3권 7장 12-3.jpg

사진 2-297.갓 태어나 신생아의 탯줄을 탯줄 크램프로 조인 후 신생아의 탯줄

Copyright ⓒ 2012 John Sangwon Lee, MD., FAAP

제3권 7장 12-4.jpg

사진 2-298.탯줄 크램프로 조인 신생아의 탯줄

 한개의 탯줄 정맥과 두 개의 탯줄 동맥이 건사된 상태로 보인다.

Copyright ⓒ 2012 John Sangwon Lee, MD., FAAP

제3권 7장 12-5.jpg

사진2-299.잘 건사된 탯줄과 배꼽.

Copyright ⓒ 2012 John Sangwon Lee, MD., FAAP

제3권 7장 12-6.jpg

사진2-300.배꼽의 중앙 부분에 누렇고 둥그렇게 보이는 것이 제육아종이다.

Copyright ⓒ 2012 John Sangwon Lee, MD., FAAP

Cares for umbilicus and umbilical cord of newborn infants

• The umbilical cord is a kind of gelatin tube that connects from the navel of the fetus to the placenta.

• The main component of the umbilical cord is a jelly-like colloid.

• The umbilical cord contains two arteries and one vein.

• A full-term baby’s umbilical cord is about 1cm in diameter and 1m in length.

• Oxygen and nutrients needed by the fetus are supplied from the mother through the umbilical cord vein, and waste products in the fetus’ blood are excreted through the umbilical arteries to the placenta and mother (see When does the umbilical cord fall off?).
• It is necessary to prevent bacterial infections such as Staphylococcus aureus, group B research bacteria, or E. coli in the umbilical cord and navel of newborns.

• Immediately after birth, apply Betadine-iodine to the umbilical cord area that is 2.5~3cm away from the baby’s navel, and tie the area with a sterile sterilized thread or fasten it with an umbilical cord clamp.

• Next, remove the baby from the placenta by cutting the part of the umbilical cord tied with a thread, or the part of the umbilical cord on the side with the placenta about 0.5 cm from the clamped umbilical cord, with sterilized scissors.

• Sterilize the part of the umbilical cord attached to the navel of newborns daily with betadine sterilizing solution, etc. until the umbilical cord dries out.

• Instead of sterilizing the umbilical cord with betadine sterilizing solution, it is sometimes sterilized with triple dye (triple dye solution).

• In some cases, the umbilical cord is dried naturally without sterilization with any disinfectant.

• It is normal for the part of the umbilical cord attached to the navel to dry completely from the navel after 1 to 2 weeks.

• If the umbilical cord is dried naturally, it is normal for the umbilical cord to dry out and fall from the navel in the first week of life.

• When sterilizing with triple die, it is normal for the dried umbilical cord to fall from the navel on the 15th to 21st days after birth.

• If the part of the umbilical cord attached to the navel does not fall off even after 3 weeks of age, a bacterial infection is likely to occur in the navel or umbilical cord, and the bacterial infection may spread more and more and cause decontamination, bacterial meningitis, otitis media, and perianal infection.

• Sometimes the umbilical cord may fall off more slowly, such as when there is immunodeficiency.

• Until the umbilical cord dries out, the umbilical cord and the navel to which the umbilical cord is attached can be sterilized with betadine disinfectant.

• Daily sterilization with rubbing alcohol has no effect. Therefore, rubbing alcohol is not recommended for umbilical cord drying.

• After tightening the umbilical cord with the umbilical cord clamp, the umbilical cord clamp is removed 1 to 3 days later.

• There is no need to cover the umbilical cord attached to the navel with gauze.

• Before the umbilical cord falls off, the umbilical cord attached to the navel or the navel should be checked frequently for bleeding or bacterial infection in the navel, causing decontamination or myositis.

• Before the umbilical cord is completely dry, if possible, do not wet the umbilical cord and bathe it with gauze or a cotton ball.

• After the umbilical cord is detached from the navel, there may be a small amount of yellowish fluid similar to pus on the central part of the navel where the umbilical cord was attached.

• Wipe the belly button with a cotton ball or gauze moistened with betadine disinfectant.

• If the umbilical cord is attached to the navel or the umbilical cord is detached from the umbilical cord, see a doctor for diagnosis and treatment.

• After the umbilical cord is detached from the navel, raw flesh may grow from the navel, and a clear fluid may come from the raw flesh.

• This live flesh is called the granulation species.

• Raw granuloma is easily cured by slaughtering it with a silver nitrate rod (see the second granular species).

• Bacterial infections such as Staphylococcus aureus, group B hemolytic bacteria, or Escherichia coli in the navel can cause the navel to swell. This is called decontamination. If an infection developed,  medical attention was immediately sought. See Navel Inflammation (Inflammation).

제3권 7장 12-1.jpg

Picture 2-295. The umbilical cord of a newborn baby is long cut. The head is strange and long with moldings. This is also normal. Copyright ⓒ 2012 John Sangwon Lee, MD., FAAP

제3권 7장 12-2.jpg

Picture 2-296. Umbilical cord clamp. Copyright ⓒ 2012 John Sangwon Lee, MD., FAAP

제3권 7장 12-3.jpg

Picture 2-297. The umbilical cord of a newborn baby after fastening the umbilical cord of a newborn baby with an umbilical cord clamp. Copyright ⓒ 2012 John Sangwon Lee, MD., FAAP

제3권 7장 12-4.jpg

Picture 2-298. The umbilical cord of a newborn baby is fastened with an umbilical cord clamp. Two umbilical arteries and one umbilical vain appear to be dry. Copyright ⓒ 2012 John Sangwon Lee, MD., FAAP

제3권 7장 12-5.jpg

Picture 2-299. A well-dried umbilical cord and navel. Copyright ⓒ 2012 John Sangwon Lee, MD., FAAP

제3권 7장 12-6.jpg

Picture 2-300. The yellow and round shape in the center of the navel is the second granuloma. Copyright ⓒ 2012 John Sangwon Lee, MD., FAAP

출처 및 참조문헌

  •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22ND Ed
  • The Harriet Lane Handbook 22ND Ed
  •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hildren
  • www.drleepediatrics.com제7권 소아청소년 감염병
  • www.drleepediatrics.com제8권 소아청소년 호흡기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9권 소아청소년 소화기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0권. 소아청소년 신장 비뇨 생식기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1권. 소아청소년 심장 혈관계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2권. 소아청소년 신경 정신 질환, 행동 수면 문제
  • www.drleepediatrics.com제13권. 소아청소년 혈액, 림프, 종양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4권. 소아청소년 내분비, 유전, 염색체, 대사, 희귀병
  • www.drleepediatrics.com제15권. 소아청소년 알레르기, 자가 면역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6권. 소아청소년 정형외과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7권. 소아청소년 피부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8권. 소아청소년 이비인후(귀 코 인두 후두)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9권. 소아청소년  안과 (눈)질환
  • www.drleepediatrics.com 제20권 소아청소년 이 (치아)질환
  • www.drleepediatrics.com 제21권 소아청소년 가정 학교 간호
  • www.drleepediatrics.com 제22권 아들 딸 이렇게 사랑해 키우세요
  • www.drleepediatrics.com 제23권 사춘기 아이들의 성장 발육 질병
  • www.drleepediatrics.com 제24권 소아청소년 성교육
  • www.drleepediatrics.com 제25권 임신, 분만, 출산, 신생아 돌보기
  • Red book 29th-31st edition 2021
  • Nelson Text Book of Pediatrics 19th- 21st Edition
  • The Johns Hopkins Hospital, The Harriet Lane Handbook, 22nd edition
  • 응급환자관리 정담미디어
  • 소아가정간호백과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이상원
  • Neonatal Resuscitation American heart Association
  • Neonatology Jeffrey J.Pomerance, C. Joan Richardson
  • Pediatric Resuscitation Ped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Stephen M. Schexnayder, M.D.
  • Pediatric Critical Care, Ped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James P. Orlowski, M.D.
  • Preparation for Birth. Beverly Savage and Dianna Smith
  • Infectious disease of children, Saul Krugman, Samuel L Katz, Ann A. Gershon, Catherine Wilfert
  • 소아과학 대한교과서
  • Other

Copyright ⓒ 2014 John Sangwon Lee, MD., FAAP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내용은 여러분들의 의사로부터 얻은 정보와 진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is publication should not be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medical care and advice of your doctor. There may be variations in treatment that your doctor may recommend based on individual facts and circumstances.

“Parental education is the best medicine.

 

Reviewed 3/2015

Copyright ⓒ 2015 John Sangwon Lee, MD, FAAP

미국 소아과 전문의한국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이상원 저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내용은 여러분들의 의사로부터 얻은 정보와 진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is publication should not be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medical care and advice of your doctor. There may be variations in treatment that your doctor may recommend based on individual facts and circumstances. “Parental education is the best medicine.”